김제 하얼빈역 아리랑문학마을 대하소설 장소 일제 체험기
안녕하세요. 요즘 뜨고 있는 하얼빈 영화 현빈주연이라 아이들과 함께 보게 되었는데요. 너무 감명 깊게 관람하게 되었습니다. 하얼빈을 보러 갈 수도 없는 입장이고, 검색을 하다 보니 김제에 하얼빈역이 있다는 소식이 있어 <아리랑문학마을>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외부모습
아리랑문학마을이라는 비석이 있는 이곳은 김제 죽산면에 위치하고 있는 대하소설 장소라고 해요!
네비게이션으로 아리랑문학마을로 검색하고 왔더니 이렇게 큰 건물이 나옵니다. 주차장은 넓은 편이지만 이곳이 많은 관광객이 있는 편이 아니라서 여유가 있었습니다.
내부에는 이정표가 있고 관람순서도 적혀 있습니다.
아리랑문학마을 안내도입니다. 생각보다 넓은편인데요. 마지막으로 하얼빈역을 관람하는 순서입니다.
아리랑문학마을은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고,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 중이었습니다.
내부에 들어오니 신발장이 있어보니 고무신체험 ㅋㅋ 필자도 오래전에 할아버지댁에갔을때 신어본 기억이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신고 다닌 적은 없어요. 아이들도 신기했고, 체험까지 해봤습니다.
아리랑문학마을에 안내책자도 있습니다.
일제시대때 사용했던 옷도 입어볼 수가 있는데요. 옷 체험은 하지 않았어요.
내부로 들어왔어요.
식민지통치시스템~ 대한제국을 식민지로 만든 일본은 황실을 왕족으로 격하시켜 이왕 가라 불렸다고 합니다.
내부에도 볼거리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도 일제 시대에 배경 된 모습을 교육할 수가 있어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의 독립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독립이 된거 아닌가요??
일제강점기 배경이 사진으로 있으니 보기에 좋았어요.
일본 인력거입니다. 일본에서는 서양의 마차 형태를 본떠서 1869년부터 만들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1882년경 일본에 다녀온 박영효가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하면서 서둘러 보급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이분은 왜 짓밟히고 있는건지 ㅠㅠ
2층으로 올라오면 아리랑 민요?? 대해서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외 볼거리는 없었습니다.
두 손에 총을 비껴 들고 적을 향해 돌진하고 있는 독립군의 모습!! 너무 리얼했습니다. 조금 놀랍기도 했고요.
두 번째로 방문한 곳은 형무소입니다.
일제모습 그대로 형태를 갖추고 있는데요. 너무 리얼했습니다.
지금의 구치소도 이렇게 있고요. 체험도 가능했습니다.
고문했던 도구들 ㅠㅠ
방앗간 같은 곳인데요. 거대한 기계가 안에 배치되어 있더라고요.
그 앞으로는 우체국입니다. 일제시대에도 우체국은 존재했죠. 우편을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감골댁에 왔어요. 동학군이었던 남편의 병 수발로 생긴 빚 때문에 맏아들 방영근이 하와이로 팔려갔다고해요. 하지만 경신참변 때 일본군에 피살이 되었다고 해요.
눈이 많으니 눈싸움하기 좋았어요.
이제 마지막 하얼빈역으로 향합니다.
리얼한 하얼빈역!! 솔직히 조금 놀랬어요. 가보지 않았지만 조금 비슷해보입니다.
내부도 들어갈수가 있는데요. 입장하면 거대한 태극기가~ 뭉클해집니다.
하얼빈역에서는 안중근의사에대해서 알 수가 있는데요. 아이들도 하얼빈 영화를 보았다고 조금은 아는 것 같더라고요. ㅋㅋ
예전에 모습을 재현한듯 보였어요.
국기만 보아도 화가 치밀어 오릅니다.
미디어로도 볼수가 있는 곳입니다.
하얼빈역 뒤로 나가면 안중근 의사동상이 보입니다. ㅋㅋ
총에 맞고 쓰러지는 이토 히로부미입니다. ㅋㅋ 리얼하죠!
타고 왔던 기차도 보입니다. 이곳에서 인증사진 촬영도 할 수 있죠 ㅋㅋ
뿌리 없는 나무는 어디서 자랄 것이며, 나라 없는 민족은 어디서 편안하게 살겠습니까~~ 맞소!!
하얼빈역 이토 히로부미를 관람을 끝으로 아리랑문학마을 관람을 마쳤습니다. 무료관람이라 부담 없이 즐길 수가 있으며, 영화를 봐서 그런지 더욱더 의미 있던 곳이었습니다.
정보
주소 : 전북 김제시 죽산면 화초로 180
운영시간 : 09:00 ~ 17:00
문의 : 0507-1360-2926
주차 : 무료 주차장이 있어요.
찾아오는 길
'Travel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수녀들 전주 CGV 고사점 노스포 관람 후기 (14) | 2025.02.01 |
---|---|
전남 보성 가볼만한곳 다향농장 바나나농장 체험 아이들이 있다면 강추 실내 체험장 (13) | 2025.01.27 |
2025 완주 곶감축제 기본정보 성황리 마무리 너무 짧아서 아쉽다 (14) | 2025.01.21 |
제주JEJU IoT 한라산등정인증서 무료발급 방법 어플 간단한 후기 소개 (23) | 2025.01.06 |
인천 중구 차이나타운 짜장면박물관 입장료 주차 방문 후기 (44) | 2025.01.01 |